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관련

(23)
부모급여 신청과 지급, 소급적용 알아보기 23년 1월부터 만 0~1세 아동(2022년 1월1일 이후 출생아)에 부모급여가 지급됩니다. 만 0세 부모는 월 70만원, 만 1세는 35만원입니다. 부모급여는 출산이나 양육으로 인한 소득감소를 보전하여 가정에서 양육자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을 보장하고 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1월부터 만0세가 되는 아동은 월 70만원을 받고, 만1세가 되는 아동은 월 35만원을 받게 되며 24년부터는 지원금액이 확대되어 만0세 아동은 월100만원, 만1세아동은 월50만원을 받게될 예정입니다. ◆ 가정보육인 경우 전액 현금으로 지원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만0세와 만1세 모두 51만4천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만 0세는 부모급여 70만원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
23년 다주택자 규제완화 : 취득세 인하와 양도세 중과배제 2023년 다주택자를 위한 개편안이 나왔습니다. 2020년 8월 주택투기억제를위해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제도가 되입 되었는데 `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에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완화 방안이 발표되었습니다. 다주택자 규제완화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 중과 완화 50%감면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제도를 완화하였는데요. 기존에는 조정대상지역 2주택과 비조정지역 3주택 취득세율이 8%, 조정대상지역 3주택과 비조정지역4주택취득세율이 12% 적용되었습니다. 이번 방안에서 22년 12월 21일 이후 취득한 주택의 경우 조정º비조정 상관없이 2주택 취득까지는 취득세가 중과되지 않으며 조정대상지역 3주택과 4주택 취득에 대한 취득세율은 기존 12%에서 6%로 완화되고, 비조정대상지역 3주택은 8%에서 4%..
서울시 반지하 특정바우처 지원자격과 지원방법 서울시 반지하 가구 지상층 이주 지원 사업 22년 여름 115년만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엄청난 폭우가 내렸습니다. 사나흘간 내린 강수량은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절반을 넘는 수치였습니다. 이러한 이례적인 폭우로 전국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는데 그중 서울시는 반지하 침수지역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침수 우려를 안고 살아가는 반지하 가구의 불안을 덜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상층으로의 이주를 독려하고자 지난 8월 반지하 거주가구 지원대책을 세웠습니다. 지난 8월 ‘반지하 거주가구 지원대책’의 하나로 ‘반지하 특정바우처’를 22년 11월 28일(월)부터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상시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반지하 거주 가구가 지상층으로 이사하는 경우 최장 2년 간 매달 20만 원씩 월세를 ..
서울시 1인가구 주택관리 지원대상 및 지원절차, 신청방법 서울시는 1인 임차가구의 안전하고 행복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신속생활불편처리 ˙ 홈케어 ˙ 클린케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원대상자 : 서울시 거주 1인 임차가구 ◆ 지원내용 신속 생활불편 처리 - 현장에서 즉시 조치 가능한 주거불편사항 처리 예) 전등·콘센트·손잡이·경첩 교체, 커튼·블라인드·방범창 설치 등이 있으며 신속생활불편처리 접수 후 코디네이터가 방문하여 필요시 홈케어 또는 클린케어 서비스 연계 지원합니다. 홈케어 서비스 - 신속 생활불편 처리로 어려운 경우, 집수리업체를 연계하여 소규모 집수리 예) 방충망, 창호, 곰팡이, 싱크대, 수전, 변기, 세면대, 방음, 단열, 안전손잡이 수리 클린케어 서비스 - 독거노인, 장애인 등 대상 정리정돈, 청소 등 환경개선 지원 예) 청소, 방역, ..
서울시, 1인가구 퇴원 후 일상회복 안심동행서비스 지난 글에서 서울시 1인가구에 대한 '병원동행서비스'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아파서 거동이 불편한 혼자사는 사람들은 전반적인 생활에서도 많은 불편을 겪게 되지요. 예를들면 씻거나, 청소, 식사 같은 아주 기본적인 것들조차 힘들게 됩니다. 서울시는 병원동행서비스와 함께 퇴원 후 일상회복에도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1인가구 퇴원후 일상회복 안심동행 서비스' 입니다. 1인가구 퇴원 후 일상회복 안심동행은 돌봄매니저가 퇴원 후 일시적인 돌봄이 필요한 1인가구 가정을 방문해 가사 활동과 이동 등을 도와줌으로써, 아픈 시민의 일상생활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의 사업입니다. ◈ 주된 활동 ▸ 신체활동 도움 : 몸씻기 및 세면, 옷 갈아입기, 식사도움, 실내이동, 복약 돕기 ▸ 일상생활..
서울시 1인가구 병원안심동행서비스 1인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혼자 살때 가장 힘들고 어려운 점은 몸이 아파서 병원에 혼자 가야할 때일 것입니다. 어지럼증을 많이 느끼거나 다리가 불편할 경우 등 거동이 불편한데 혼자 병원을 간다는 것은 정말 난감한 상황이 아닐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 있는 시민들을 위해 서울시가 병원동행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1인가구병원동행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1인가구 병원동행서비스는 서울시민이 아파서 병원동행이 필요한 경우, 병원에 갈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에 동행매니저가 보호자처럼 동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범위 - 병원으로 출발할 때부터 집에 귀가할 때까지 동행 (Door to door) - 병원 내 수납·진료 동행, 병원 입원·퇴원 지원, 진료실 동행 - 병..
퇴직연금 DB형 DC형 IRP 알아보기 직장인이라면 퇴직연금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겁니다. 퇴직연금이란 퇴직금을 회사가 관리하지 않고 퇴직금 자체를 금융기관이나 퇴직연금위탁기관에 위탁을 해서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은 2005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제정되면서 함께 도입된 제도인데요. 회사가 갑자기 도산하게 되는경우 직원은 퇴직금을 못 받게 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죠.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 퇴직금을 미리 위탁을 해서 회사가 퇴직금을 직접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직원이 정상적으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의 종류 퇴직연금은 먼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확정기여형(DC), 확정급여형(DB) 와 개인형 IRP 이렇게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요. 우리가 회사에서 선택할수..
안심전환대출 신청자격 완화 총정리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안심전환대출'의 신청자격이 완화됩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11월 7일부터 신청대상요건 중 주택 가격은 4억원에서 6억원으로 부부 합산소득은 7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2억 5천만원인 대출 한도도 3억 6천만원으로 높아집니다. ◈ 대출항목 ▶금리안내 ▶ 대출한도 : 기존 대출의 잔액 내 최대 3.6억원 (100만원 단위 절상)까지 취급 가능합니다. 단, LTV 70% 및 DTI 6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상환방식 : 상환방식은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방식이 있습니다. ▶ 대출만기 : 대출만기는 10년, 15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하며 만기가 길수록 DTI는 낮아집니다. ◈ 인적항목 ▶ 신청인 국적 : 신청인 및 배우자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