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고약사님의 건강을 위한 좋은 정보를 정리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요약하기
- 고용량 섭취시에 간을 망가뜨리는 영양제: 철분제, 비타민A, 비타민B,
- 용령무관 섭취시 간을 망가뜨리는 영양제: 서양승마, 녹차추출물, 적하수오, 카바
최신자료를 기반으로 명백한 간손상을 유발하는 영양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자료의 출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발표하는 자료라 신뢰도가 높습니다.
영양제나 의약품이 간을 망치는 카테고리(분류)는 A, B, C, D, E, X가 있습니다. 카테고리A는 50건 이상의 간손상이 보고된 영양제로 간 독성에 명백한 근거가 있다고 판단되는 약품이고, 카테고리B는 12-50건 사이의 간손상이 보고된 영양제로 간 독성의 가능성이 높은 약품, 카테고리C는 12건 미만의 간손상이 보고된 영양제로 간독성의 가능성이 있고, 드물게 보고가 된 약품, 카테고리D는 3건 미만의 간손상이 보고된 영양제로 거의 만일 사례로 가능성이 낮을 수 있는 약품, 카테고리E는 증거가 없는 약품, 카테고리X는 최신약물이거나 정보가 부족한 성분, 5가지 범주에 해당되겠지는 현재는 분류가 안된 약품입니다.
이 중 카테고리A에 해당되는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영양제 성분을 말씀드릴 겁니다. 하지만 카테고리A에 해당되는 영양제를 먹는다고 100프로 간이 손상되는건 아닙니다. 일부에게 간손상이 유발되고 그 간손상 유발되는 상관관계가 명백한 것입니다.
카테고리A에 속하는 영양제 성분 그 중에서 구할 수 있는 성분은 7가지 정도 됩니다. 세가지는 고용량 섭취시에만 간독성이 일어나는 것이고, 네가지는 일반 용량에서 간독성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고용량 섭취시에 간독성이 일어나는 영양제
철분제
일반적인 철분의 권장섭취량 20mg, 최대 40mg까지는 간독성 이슈가 전혀 없습니다. 성인에게서 문제가 발생된 것은 없고 성인 철분제를 만5세 이하의 아이가 잘못먹고 발생한 부작용이 대부분입니다.
부작용이 발생한 철분제 용량은 1회에 650mg짜리 초고용량을 꾸준히 섭취했을 때 독성을 발휘했고, 보통 60mg/kg의 철분을 섭취할 때 간독성이 발생합니다. 그 증상은 간부전, 간이식 사망 케이스인데 보통 아이들에게 발생했고, 철분 고용량을 섭취하면 보통 수시간내로 간손상이 유발되고 구역, 구토, 황달이 발생합니다. 케이스를 보면 18세 여성이 한번에 황산철로 32,500mg의 초고용량을 섭취하고 60mg/kg의 철분을 섭취할 때 간독성이 발생했습니다.
6일 치료후 큰 후유증 없이 퇴원했다고합니다. 나머지 케이스는 대부분 어린아이들에게서 간독성이 발생했습니다. 하루에 600밀리 이상의 몇천밀리를 먹지 않는 이상 보통 철분 권장 섭취량 20-40mg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비타민A
보통 흡연자는 5000단위 이하, 비흡연자는 10000단위 이하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매일 4만단위 이상 섭취시 간 독성이 발생했다는 케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아이허브 가보시면 1알에 25000단위짜리고 있습니다. 이런건 하루 2알 이상 섭취하면 간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10-20만 단위 이상 섭취시 간독성이 발생합니다. 보통 비타민A를 메가도스를 하는 이유가 여드름이나 피부염을 개선시킬 목적이 많습니다.
첫 번째 케이스는 18세 여성이 피부질환(여드름)을 치료할 목적을 비타민A 10-20만단위를 16개월동안 섭취하고난 후 두통, 식욕부진, 구역구토, 피부각화(건조증)이 발생하였습니다. 비타민A로 인한 간손상의 양상은 간의 비대 일관적으로 발생하고 간수치는 아주 높지는 않습니다. 비타민A도 적정용량을 지키시면 거의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비타민B3
비타민B3를 고용량 섭취하는 이유는 고지혈증 개선 목적으로 섭취합니다.
보통 니코틴아미드형태는 안전한편이고 나아신으로 하루에 100-200밀리는 거의 문제가 안됩니다. 보통 500-1000mg이상 그리고 지속방출형(서방형)이 더 간독성이 심하다고 합니다.
비타민B3는 간손상 잠복기가 아주 긴편이라 확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케이스들은 보통 고지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용량을 섭취하였습니다.
한 케이스를 보면 41세의 남성이 B3를 하루 4500mg씩 매우 6개월간 섭취했다고합니다. 전형적인 간손상 증상인 황달, 구역, 구토, 식욕부진이 발생했습니다. 간손상으로 인한 간수치 3000이 넘었다고 합니다. 입원으로 일주일간 치료하고 퇴원했다고합니다.
용량과 무관하게 간독성 유발 영양제
서양승마(블랙코호쉬)
갱년기 치료제로 많이 활용되는 생약입니다. 하지만 사망 케이스가 있을정도로 간독성이 명백하게 발생하는 성분입니다. 약국용 제품 중 훼라민땡 이런 약품이 있습니다.
부작용은 주로 간이식, 사망 케이스가 10여건 이상 보고가 되었고, 섭취후 2주 이내에 간손상을 유발하기도 할 정도로 즉각적이고 빠르게 간염이 유발되었습니다.
케이스를 보면 52세의 여성이 갱년기 개선 목적으로 서양승마 복합제를 3개월간 섭취하고 전형적인 간손상 증상인 황달, 극심한 피로, 구역으로 병원에 내원하였고, 간수치가 1400까지 올랐으며 대규모 간손상으로 간부전, 간성혼수가 발생하였습니다. 간이식을 받고 회복했습니다.
두 번째 케이스는 54세의 여성이 갱년기 조절 목적으로 하루에 1000mg의 서양승마를 6개월간 섭취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간손상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을 했습니다. 39일 뒤 간이식 수술을 했지만 과다출혈로 사망하였습니다. 부검 결과 간이 모두 손상되어 있었다고합니다.
녹차추출물
녹차는 일반적으로 간에 좋고 항산성분이 많아 피부에도 좋고 다이어트에도 좋습니다. 보통 녹차 추출물은 고용량 섭취시 간 손상이 유발한다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에 따라서는 적정 용량에도 간손상이 유발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허가 용량은 높진 않지만 그럼에도 간이 안좋은 분은 주의해야 합니다.
보통 녹차추출물 기준 1900밀리 이하는 큰 문제 없고 EGCG 기준으로는 600밀리 이하는 안전합니다. EGCG는 생리활성도가 높은 녹차 추출물이라고 보면 됩니다. 37세의 여성이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녹차추출물을 383mg을 매일 섭취했는데 4개월 뒤에 매스꺼움, 복통, 황달 등 전형적인 간손상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일년 뒤에 똑같은 제품을 또 섭취했는데 또 간손상으로 입원했다고합니다.
적하수오
주로 중국에서 많이 섭취한다고합니다. 백수오와 적수오의 효능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적수오가 부작용이 훨씬 심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동의보감에서 혈과 기운을 돋고, 얼굴색을 좋게하고 머리를 검게 한다고합니다. 보고된 몇 케이스를 보니 모발 건강을 위해서 섭취하고 간독성이 발생했다고합니다.
케이스를 보면 5살 아이에게 적하수오 보충제를 매일 먹게 했다고 합니다. 목적은 모발 건강을 위해서라고 합니다. 4개월 섭취후 황달, 흑색소변(전형적인 간손상 신호)을 보고 병원에 입원했다고합니다.
한달간 치료후 회복하였으나 수개월 뒤에 같은 제품을 섭취하고 재입원을 했다고 합니다. 주로 중국에서 자생하고 활용하는 적수오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예전에 가짜 백수오 파동으로 갱년기 백수오 제품이 거의 사라졌다가 다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적수오를 갱년기 건강에 활용을 하기도 합니다.
카바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절대 먹지 말아야할 보충제 성분으로 카바를 지목했습니다. 카바는 보통 이완작용, 신경안정 작용이 있어서 수면장애, 우울증, 갱년기 증상 개선, PMS 개선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카바 보충제 판매를 중단시켰어요. 미국은 여전히 판매중이라 아이허브에도 여러 가지 제품이 판매 중입니다. 카바는 간독성을 즉각적이고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무서운 생약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6가지 보충제는 사실 건강한 사람은 큰 문제가 없지만, 카바는 그냥 절대 드시지 마세요. 간독성이 신속하게 발생합니다. 간의 특정 효소의 대사에 영향을 줘서 다른 의약품이나 영양제 섭취에도 악영향을 줍니다. 케이스를 보면 22세의 여성이 기분의 전환을 위해서 카바 추출물 240mg을 4개월간 매일 섭취한 결과 4개월 뒤 메스꺼움, 피로, 황달이 발생하여 입원하고 3일만에 급선 간부전으로 간이식을 받았습니다.
간 생검을 하니 광범위한 간 괴사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또다른 케이스는 56세 여성이 3개월간 카바를 섭취했다고 합니다. 2주동안 간손상 신호가 있었는데 바로 내원을하지 않았는데 이 과정에 간손상이 심하게 망가졌습니다.
이후 간검사를 해보니 간수치가 4500으로 심각한 간손상 괴사가 발생하였습니다. 입원후 17일만에 간이식 수술을 진행했고, 그 과정에 과다출혈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이런걸 무조건 먹지 말라?
카바는 무조건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고, 간수치가 높거나 간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다른 제품들도 섭취를 하지 말거나 주치의와 협의 하시고, 간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카바를 제외하면 섭취해도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주의는 계속 해야 합니다.
간손상시 발생하는 신호
대표적인 증상은 황달, 흑색소변, 극심한 피로, 구역 구토, 급격한 체중감소이 있습니다.
Thanks a Lot!
※ 본 블로그가 포함하고 있는 내용은 질병의 진단, 치료 또는 의료적 조언이 아닌 참고 수준의 일반적인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 의료 상담, 건강진단, 치료방법은 전문의에게 상담하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본 블로그의 정보를 기본으로 자가 진단하지 마시고 전문상담이 가능한 의사나 건강 관련 전문의와 상담을 권장해 드립니다. 또한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이나 싱품 제휴를 통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약사-고약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약사] 방광염에 좋은 유산균 추천과 성분에 대해 (FEAT: 자로우 펨도필러스, 락토페린 (0) | 2022.06.05 |
---|---|
[고약사] 아침마늘의 효능, 구성 성분, 교릭(Kyolic) 제품으로 끝 (0) | 2022.05.25 |
[고약사] 만성염증 완화시켜주는 레스베라트롤 (0) | 2022.05.21 |
[고약사] 식이섬유가 대장암을 예방하는 이유와 완화 영양제 (0) | 2022.05.19 |
[고약사] 나쁜 오메가3 피하는 방법 4가지 (0) | 2022.05.14 |